2008년 10월. 서울의 내4산은 북쪽의 북악산, 동쪽의 낙산, 남쪽의 남산, 서쪽의 인왕산을 말하며 조선시대의 도읍지의 경계이며, 그리고 외4산은 북쪽의 북한산, 동쪽의 용마산, 남쪽의 관악산, 서쪽의 덕양산을 말하는데 지금 서울시의 대략적인 경계에 해당된다.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덕양산에 갔다 왔다. 덕양산은 생소한 이름이지만 행주산성이란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행주산성은 삼국시대부터 토축산성이었다고 하는데 조선시대 임진왜란때에 권율장군의 행주대첩의 전승지이며 행주치마의 일화가 남아있는 곳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 화정역에 내려 3번이나 4번 출구로 나오면 그곳에 버스 정류장이 있는데 15-1 마을버스를 타면 바로 행주산성 입구에 내려준다. 배차간격이 멀어 조금 기다려야할 때도 있다.
마을버스를 타고 15분 정도 가면 행주산성 입구에 내리는데 바로 앞에 해병대 행주도강 전첩비가 있다.
산성으로 오면서 보이는 길의 우측도로 아래에는 많은 먹거리 음식점이 있다.
그리고 입구 주차장 옆 행주내동으로 가는 길이 있어 그곳에서 매운탕으로 점심믈 먹고...
행주산성으로 들어가는 대첩문이다. 입장료는 성인 기준 1,000원.
입구에서 권율장군 동상을 먼저 보고 길따라 가면서 우측으로 충장사를 보고, 대첩기념관을 돌아보고, 청간정, 덕양정을 거쳐 덕양산의 정상에 있는 행주대첩비를 본 다음 충의정에서 토성을 따라 내려오면 한바퀴를 돌게된다.
들어가면 바로 우측으로 권율장군 동상이 있다.
임진왜란때 이순신 장군과 함께 구국의 영웅이다. 되돌아 나와...
포장된 말끔한 길을 따라 간다. 도로변의 낙엽이 가을의 정취를 더해주고 있고...
좌측은 토성으로 가는 길, 우측으로는 충장사 가는 길이, 바로 가면 행주대첩비가 있는 정상으로 가는 길이다.
먼저 우측의 충장사로 들어간다.
뒤쪽 충장사 안에는 장군의 영정이 있다.
다시 되돌아 나와 길따라 올라오면...
우측으로 대첩기념관이 있는데 실내에선 사진을 못찍게 한다. 행주대첩에 관한 각종 기록물들이 있다.
다시 되돌아 나와 가는데 하늘로 올라가는 길인 듯...
고개에 올라서니 우측으로 한강과 방화대교의 모습이 보인다.
우측으로 내려가니 청간정이 있는데 잡목이 우거져 조망은 좋지 않다.
다시 되돌아 나와 대첩비가 있는 곳으로 간다. 보이는 정자는 덕양정이다.
덕양산의 정상에 있는 행주 대첩비.
대첩비에 올라 돌아보는 서울의 모습은 보기 좋다. 자유로와 하늘 공원이 보인다. 좌측 멀리는 남산이다.
방화대교와 강서구, 덕양정과 대첩 기념비 누각.
위 두 사진의 파노라마.
영상교육관으로 활용되고 있는 충의정.
멀리 북한산 국립공원이 뚜렷이 보이고...
서해로 흘러가는 한강의 줄기 모습. 좌측의 다리가 행주대교. 멀리가 김포대교.
충의정 뒤로 나 있는 토성이다.
토성길따라...
과거 산성의 문이 있었던 곳이라 한다.
그렇게 한바퀴 돌아보고 나오는데 1시간 조금 더 걸렸다.
노랗게 물들어가고 있는 은행 잎...
20여분을 기다려 마을버스를 타고 화정역으로 돌아 왔다.
휴일 가족 나들이 장소로 괜찮다. 아이들에겐 산 역사 공부도 할 수 있고...
'집 밖으로 > 산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 거류산(570M 엄홍길 전시관-거류산성-정상-거북바위-전시관) (1) | 2022.12.29 |
---|---|
담양 추월산(731M 관리사무소-보리암-상봉-정상-월계리) (0) | 2022.12.29 |
양산 천태산(631M 천태사-천태공원-정상-천태호) (0) | 2022.12.29 |
북한산 국립공원 6. 북한산성 계곡:수문지-중성문-행궁지-남장대-청수동암문 (1) | 2022.12.29 |
창녕 관룡산~화왕산(757M 옥천매표소-관룡사-용선대-관룡산-화왕산)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