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0월. 경남 거창의 진산인 삼봉산은 말 그대로 정상 봉우리가 3개라서 삼봉산인데 그 중심 봉우리는 먼데서 바라보면 피어나는 연꽃 모습 같다고, 그리고 예로부터 소금강이라 부를만큼 경치가 빼어났으며 가뭄이 들때면 산기슭에 있는 금봉암에서 기우제를 올리던 곳이라고 거창군 홈페이지에는 적고 있다. 이산은 백두대간 등산로인데 안내 산악회를 따라 10월중순에 갔다 왔다. 거창군 홈페이지에 있는 등산로 지도인데 3개의 코스중 백두대간 등산로는 위쪽 빼재에서 우측의 소사고개 구간인데 7.0km, 3시간 걸린다고 적혀 있다.
거창 고제면 소재지를 지나 37번 국도를 타고 가는데 이름 모를 저수지를 지나고...
신풍령휴게소를 지나 수령/빼재에 버스는 서고... 이고개는 전략적 요충지라 삼국시대부터 임진왜란때 까지 싸움이 잦아 뼈를 묻는 사람들이 많았고, 이곳 주민들은 짐승을 잡아먹고 그 뼈들이 이곳 저곳에 널려지게되어 뼈재라고 불렀는데 빼재로 변형이 되었다가 이를 다시 한자로 바꾸면서 수령(秀는 빼어날 수)이라고 했다고 한다.
빼재 정상엔 이곳이 백두대간임을 알려주고 있다. 삼봉산을 거쳐 대덕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이다.
빼재에서 거창방향으로 조금 내려가면 멀리 좌측 산행 들머리인 나무 계단이 보인다.
나무계단에서 삼봉산은 4.1km라고 적고 있다.
계단 입구에서 빼재쪽으로 바라본 모습.
앞에 가는 사람들은 일요일마다 백두대간을 이어 가는 사람들이라 발걸음도 빠르다.
나무 계단을 올라선지 30여분이 조금 안되어 봉산갈림길에 선다. 봉산삼거리 1.9km, 삼봉산 2.6km, 되돌아 신풍령 1.9km다.
우측으로 멀리 삼봉산이 보이기 시작한다.
등산길은 거의 외길이지만 백두대간 길이라 리본도 많고 이정표도 잘 되어 있지만 이정표 거리가 잘 맞지 않는다.
좌측으로 삼봉산의 봉우리가 한층 가까워져 보인다.
뒤돌아 본 모양인데 나뭇잎들은 단풍이 들어 이제 떨어지는 날만 기다리고 있다.
붉게 물든 단풍나무도 한그루 보이고...
이 대간길은 1,000미터가 넘는 높은 고도이지만 산행을 시작한 빼재가 890여미터로 높기 때문에 그리 힘든줄 모르고 능선길을 따라 걸으면 되기 때문에 편하다.
봉산갈림길에서 35분 정도 오니 금봉암으로 내려갈 수 있는 삼거리에 이른다.(금봉암 0.7km, 삼봉산 0.6km, 빼재 3.6km)
산죽이 있는 산길도 지나고...
다시 금봉암으로 내려가는 길을 만나고(금봉암 0.5km, 빼재 3.8km, 삼봉산 정상 0.34km)
가다 뒤돌아 본 모양.
전망장소에 서는데 이곳이 삼봉이라는 듯 돌 무덤도 3개가 놓여 있다. 가운데 것이 가장 높다.
완연한 가을색이다.
빼재 나무계단을 올라선지 1시간 20분 걸려 삼봉산 정상에 선다. 소사재 2km, 신풍령 4.5km다. 쉬었다가...
뒤돌아 본 봉우리.
소사재 방향으로 가는데 리본들은 좌측으로 메여있는데 앞서 가는 사람이 바로 바위 능선으로 올라선다. 따라서...
아마도 두번째 봉우리인 듯하다. 가장 높은 곳인 듯... 실제로 GPS고도계를 보니 1259~1260미터로 나온다. 보는 봉우리는 정상 표시석이 있는 봉.
멀리 구비 구비 산능선이 보이지만 어딘지 분간을 못한다.
깊어가는 가을...
저 아래 고냉지 채소밭을 지나 올라야 할 대덕산이 중앙에 보인다. 우측의 봉우리는 거쳐 가야하는 초점산/삼도봉이다.
소사재로 내려서는 삼거리. 정상에서 30분 정도 걸렸다.(소사 2.1km, 삼봉산 0.8km)
백두대간을 다니는 사람들이 왔다간다는 표시로 걸어놓은 수많은 리본들...
이곳 소사재로 내려서는 길은 경사가 심하다.
소나무들이 보이기 시작하고...
임도인 듯한 곳에 중간 출입문이 있다.
출입문을 지나고... 일몰 이후엔 다니지 말라고 적혀 있다.
소나무 숲길을 내려와서...
가야할 대덕산을 바라보고...
지나온 삼봉산도 돌아보고...
이곳은 고냉지 채소 밭이다. 지난 추석전후 한포기에 10,000원이 넘었던 배추...
전나무 숲길을 지나면...
소사로 내려오는 삼거리에서 50여분 정도 걸려 소사고개에 도착한다. 길건너 안내간판 옆으로 산길이 이어지는데 좌측으로 가면 소사마을이다.
소사마을... 행복 700. 사람이 살기 가장 좋은 높이가 여러가지 의미에서 700미터라고 한다. 뒤의 능선이 삼봉산이다.
GPS 궤적 7.15km, 2시간 36분
소사마을에서 점심 먹고 좀 쉬었다가 길건너에 있는 대덕산으로 산행을 계속 할 예정이다.
'집 밖으로 > 산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달성 마천산(196M) (0) | 2023.01.12 |
---|---|
김천 대덕산(소사고개-초점산/삼도봉-대덕산 투구봉 1290M-덕산재) (0) | 2023.01.11 |
내장산 국립공원 2. 백암산 741M(몽계폭포-사자봉-상왕봉-백학봉), 백양사 (0) | 2023.01.11 |
경산 선의산(도성사-정상 756M-도성사) (0) | 2023.01.11 |
경주 국립공원 4. 토함산지구 무장산(암곡주차장-무장봉 624M-무장사지) (0) | 2023.01.11 |